티스토리 뷰

IP :   글 작성 시각 : 2003.02.21 15:31:02
오마 샤리프와 음악 "라라의 테마"로 유명한 영화, TV에서도 수 차례 방영되었을 터이고 비디오도 나와있고.. 그래서 삼십년 가까이 살면서 안보기도 힘들었을 이런 영화를... 영화를 전공하는(그렇지만 게으른) 나는 그제야 처음으로 보았다.
다행이 '씨네큐브 광화문'에서 필름으로 볼 기회가 있었고, 무리를 해서 시간을 낼 가치는 있다고 판단하고 있었기에 세 시간이 넘는 상영시간을 부담스러워하지는 않기로 했다.

첫 느낌은 오마 샤리프에 대한 인상이다.
<아라비아의 로렌스>에서는 미처 다 발견할 수 없었던 그의 '우유부단한' 감성을 볼 수 있었던 것이 하나의 소득이었다.
두 여자를 사랑하면서도 나름대로 둘에게 진실한, 현실에서는 나로선 결코 용납할 수 없을 이 깝깝한 남자가, 어찌하다가 한시대의 아이콘이 되었고 담배와 온갖 패션 제품들의 상표로 남게 되었는지 이해가 될 법도 했기 때문이었다.

그래봤자, 불륜이군.
아름답기 그지없고 시대가 낳은 절절한 아픔이지만 눈물이 나지 않는 건(사실 난 영화를 보며 울어본 기억이 거의 없다..--;;) 어쩔 수 없는 내 이성이다.
그래서.. '만날 수 밖에 없는' 운명을 지닌 두 남녀라지만, 그 넓은 - 그저 넓다는 말로는 다 표현이 안될만큼인 - 러시아 땅에서 우연히! 만나는 횟수를 나도 모르게 꾹꾹 세어 보고 있더라.
혁명을 몰라도, 러시아 역사를 몰라도 영화를 이해하는 데에는 아무 무리가 없다 - 물론 이해의 깊이는 지식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그리하여 나는 스토리나 사랑의 애�음보다 어머니에게 물려받은 기타(비슷한 악기) 대신 언어를 연주하게 된, 소년 지바고의 성장과 그 낡은 기타의 대물림에 관심을 쏟게 된다.
그도 아니면 라라의 최초의 정부(?)였으며 끝까지 살아남아 라라를 살려주는 현실주의자 빅토르의 교활하지만 예리한 시각이라든지.
그는 라라의 남편이 된 청년 혁명가 파샤를 가리켜 이렇게 말한다.
"세상엔 두 부류의 남자가 있다. 고고하고 순수한 남자와 그렇지는 못하지만 '살아있는' 남자. 세상은 첫 번째 부류의 남자를 존경하는 것 같지만 사실은 그를 지독히도 싫어하지... 여자도 마찬가지다. 그리고 넌(라라) 두 번째 부류의 여자야.."
그리고, 그는 결국 자신이 '살아있다'는 사실을 마지막까지 살아남는 것으로 검증했다.

좋은 영화, 긴 시간 지루하지 않게 보았지만 어쩔 수 없이 푹~ 빠질 수는 없는 나의 '한심함'에 조금은 자조하고 있을 때, 이리저리 써핑을 하다가 '씨네 21'에 실린 공지영씨의 글을 발견하고 눈이 번쩍 뜨이다..
그러니까 나는 그녀가 서른 즈음에 가졌던 생각, 지금은 그쯤에 와있는걸까..
나와 같이 '그 남자'에 주목한 사람이 또 있었던 것이 그저 반가웠다.
그런데, 따지고 보면 꼭 그럴 것 만도 아니다.
스물에 내가 이 영화를 처음 봤더라면, 사정이 달랐을까. 나도 공지영처럼 '다층적으로' 생각하게 되었을까..(아닐 것 같다..)
지금으로선 그녀처럼 그저 십년쯤 후 다시 보면서 잠들게 되는 일은 없도록, 그만큼만 나의 최소한의 감성이 유지되었으면 좋겠다고 바랄 뿐이다.

그나저나.. 옛 기억을 추억하며 다시 극장을 찾았을, 중년도 훨씬 지난 어른들의 모습을 볼 수 있었던 건 그저 그것만으로 흐뭇함을 남긴다.
빈에 있을 때, 오페라 극장에 빨간 드레스와 턱시도 등을 차려입고 나타나곤 하던 노부부들의 백발이 잠시 생각 나기도 했다.
이 시대의 젊은이들이 노년이 된 삼사십년 후에는 추억을 담고 <타이타닉>이나 <반지의 제왕> 같은 영화들을 쌍쌍이 보러 가게 될까나...


**********

지금은, 슬픈 귀를 닫을 때

<닥터 지바고>

Doctor Zhivago 1965년,
감독 데이비드 린
출연 줄리 크리스티, 오마 샤리프, 알렉 기네스
출시 우일영상

그리운 사람을 생각하면 슬픈 귀가 열린다, 라고 내가 좋아하는 시인 김정환은 자신의 책 첫머리에 썼다. <닥터 지바고>, 라는 영화제목을 떠올리면 나는 내 흑백 사진이 든 앨범의 첫장을 여는 듯하다, 라고 내가 쓴다면 아마도 과장일지도 모르겠지만 이 영화만큼 내게 다층적인 기억을 불러일으키는 그런 영화는 아마도 없을 것이다. <닥터 지바고>라는 영화의 제목을 처음 들은 것은 내가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전이었다. 영화광이었던 어머니가 아버지와 함께 극장엘 다녀와서 했던 말이 기억나니까. 그때 어머니는 이렇게 말했던 것 같다. “그 영화 정말 굉장해, 참 잘됐어.” 재미있는 것말고 잘됐다는 게 뭔지는 몰랐지만, 닥터라는 말이 의사라는 것 정도는 알고 있었던 나는 어린 마음에도 그 영화가 “에로틱”할 거라는 근거없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우리가 의사놀이라고 불렀던 성적인 장난하고 닥터하고가 연관되어서 그랬을 것이며 어머니가 우리는 데리고 가지 않고 아버지와 단둘이만 영화를 보고 와서도 그랬을 것이며 영화에 대한 평을 전하는 어머니의 목소리가 평소하는 다르게 들떠 있어서 그랬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고나서 앨범을 한장 더 넘기면 열여섯살 겨울이 된다. 그때 나는 친구와 그 영화를 보러 갔다. 에로틱한 영화를 보러 간다는 근거없는 설렘을 나는 그때까지도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 그런데 그 영화는 에로틱한 것과는 관계가 없이 내가 좋아하던 슬픈 사랑영화였다. 영화가 끝난 뒤 목도리를 칭칭 여미고 스카라극장 앞의 눈쌓인 길을 친구와 하염없이 걸었던 생각이 난다. 그날은 왜 그렇게 춥던지, 하지만 그 추위 때문에 보도에 쌓인 눈 때문에 나는 내가 러시아의 처녀라도 된 것 같았고, 이보다 더 추운 데 가서 덜덜 떨어도 좋으니 이담에 커서 저런 사랑을 한번만 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집에 돌아온 나는 긴긴 일기를 썼다.

그러고나서 나는 스물다섯이 된다. 러시아혁명사를 배웠고 날마다 핏대를 올리며 술집을 시끄럽게 하던 시절이었다. 우연히 TV에서 나는 다시 <닥터 지바고>와 만났다. 나는 그때 <닥터 지바고>라는 영화가 러시아혁명을 놀랍도록 잘 묘사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눈을 빛냈다. 아아, 저게 ‘피의 일요일’ 사건이구나, 아하 저게 1905년 혁명이구나, 아아 저게 러시아 내전이구나…. 나는 지바고 같은 우유부단한 회색분자는 절대로 사랑하지 않을 거야…. 저 남자가 역사를 알아, 혁명을 알아? 그리고 나는 회색분자가 되지 않기 위해 공장으로 떠났다. 그리고 오년 뒤 이혼녀가 된 나는 이젠 이유도 모르겠지만 그 영화를 또 본다. 나에게는 지바고와 라라의 사랑의 감정 따위는 안중에도 없다. 다만 그 남자, 지바고보다 더 끈질기게 나오는 그 뚱뚱한 남자 말이다. 이름이 뭔지 무슨무슨 스키나 무슨무슨 코프로 끝나는 사람이겠지만 어쨌든 라라와 어머니를 동시에 데리고 놀고 나중에까지 살아남아 또 라라를 데리고 가는 그 남자, 그 남자만 보인 것이다. 그 남자가 하는 말이 어쩌면 그렇게 똑똑하고 그 남자가 하는 말이 어떻게 그렇게 얄밉도록 현실적인지 하는 것 말이다. 말하자면 이런 것이다. 라라에게 총을 들게 한 그 말, 이 세상에 살고 있는 여자는 두 종류로 나뉘지. 하나는 남자에게 고분고분 따르며 사는 여자고 하나는 남자에게 반항하지만 결국은 남자 없이는 살지 못하는 그런 창녀들이지. 그런데 너는 후자에 속해, 라든가, 혁명을 하던 라라의 약혼자를 숨겨줄 때 그를 의심하는 젊은 라라 부부에게 하던 말 “내가 왜 너희를 도와주냐고?… 그건 이런 이유야. 혹시라도 너희가 이길까봐”라든가, 라든가. 나는 그때 회색이든 보라든 어쨌든 영악하게 살고 싶었던 것이다.

그리고 다시 오년이 흐른다. 어떤 술자리에서 어떤 남자가 나보고 꼭 <닥터 지바고>에 나오는 라라를 닮으셨습니다, 했을 때 갑자기 술맛이 싹 가시면서 기분이 몹시 나빠지고 만 것이다. 그래? 그렇다면 너는 지바고라도 되겠다는 말이냐? 어림없지, 나는 차라리 지바고를 떠나 파리로 가는 본부인을 닮았으면 닮았지, 그 넓은 대륙을 떠돌면서 기껏 남자와의 사랑에 모든 걸 거는 그런 여자는 되고 싶지 않아…. 한마디로 그 여자는 한 일이 없잖아, 싶어졌던 것이고, 말을 꺼낸 남자는 영문도 모르고 그 술자리가 끝날 때까지 나에게 박대를 당했다. 한마디로 그는 타이밍을 잘못 잡은 것이다. 이십년 전에만 그 말을 했어도 좋았을 텐데….

얼마 전에 또 <닥터 지바고>를 보았다. 이번에도 왜인지는 모른다. 아마도 켜놓은 TV에서 흘러나왔으니까 보았을 것이다. 내 나이 서른아홉, 이번에 나는 그 영화를 보다가 소파에서 잠들고 말았다. 나는 과연 올바른 인생길을 가고 있는 걸까. <닥터 지바고>와 내 인생을 생각해보니 슬픈 귀가 닫히고 문득 심란해진다.

공지영| 소설가·<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고등어>
출처 : 최은의 Memory & Film
글쓴이 : 소리 원글보기
메모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