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전폭약(booster explosives)

도선이나 기폭관으로부터 기폭 작용을 증대시켜, 작약을 기폭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① RDX
TNT처럼 독성이 강하지는 않으나, 먹거나 흡입하게 되면 중추 신경이 마비
되거나 경련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살갗을 통해 흡수되면 두통을 일으키거나 현기증이 생긴다.
충격이나 마찰에 민감하고 특히 건조시 그런 현상이 더욱 두드러진다. 건조된 RDX는 2kg의 추를 32 cm 높이에서 떨어뜨렸을 때 폭발한다(NG는 15cm, TNT는 100cm). 그러나 RDX는 10∼15 %의 물을 함유시키면 매우 둔감해진다. 반면 딱딱한 물질을 섞으면 민감도는 증가한다.
RDX는 불꽃에 의해 발화되며 일정량 이상이 발화되면 폭발한다. 전폭약, 공업 뇌관의 첨장약, 그리고 도폭선의 심약 등에 사용되며, TNT와 혼융하여 작약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② 테트릴(Tetryl)
테트릴은 1877년 martens에 의해 소개된 것으로, 제1차 세계대전까지는 실용화
되지 않았으나, 그후 각국에서 사용됐다. 테트릴은 디메틸아닐린을 강력하게 질산화해서 만든다. 테트릴은 물에 전혀 녹지 않으나, 아세톤, 벤젠 등에는 녹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③ PETN
PETN은 1891년에 Tollens에 의해서 처음 합성됐으나, 공업적으로 제조된 것은 제 1차 세계대전 이후부터다. PETN은 물이나 알코올, 에테르 등에 녹기 어렵고, NG에는 잘 녹는다. PETN은 도폭선의 심약, 뇌관의 첨장약, 혼합 폭약의 한 성분, 혹은 의약용 등으로 사용된다.

④ HMX
HMX는 RDX와 비교해 볼 때, 밀도는 더 크다. 따라서 폭발 속도가 더 높으나, 충격 및 마찰 감도는 더 둔한 편이다. 이와 같이 HMX는 전폭약으로 많이 쓰이고 있는 RDX보다 더 좋은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값이 비싸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특성 및 종류

 

                 종류
   특성
RDX 테트릴 PENT HMX
원명 Cyclotrimethylene
Trinitramne
2,4,6-trinitro
phnylmethyl
nitramine
pentaerxthritol
tetramitrate
homocyclonite
분자량 222.12 287.2 316.1 -
물리적 상태 백색 황백색 백색 백색, 고체
비중(g/㎤) 1.8 1.73 1.77 -
폭발속도(m/sec) 8,500 7,600~7,850 5,330~8,300 8,900
폭발열(cal/g) 1,300 1,120 1,460~1,540 -



⑤ 하이부스타(Hi-Booster)
하이부스타는 뇌관 비기폭성(Non-Cap Sensitive) 폭약인 안포(AN-FO)를 기폭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전폭약을 의미한다. 안포(AN-FO) 폭약은 저폭속이면서 저감도이기 때문에

뇌관 자체만으로는 기폭시킬 수 없으므로,종전에는 하이마이트, 뉴마이트, 코벡스 등 뇌관 기폭성 폭약을 부스타로 사용했다.
하이부스타는 (주)한화에서 국내에서 최초로 안포(AN-FO) 폭약 전용으로 생산 공급하는 부스타이다. HiMITE 계열의 Booster와 Pentolite를 주원료로 한 Cast Booster의 2종류가 나오며, 이 제품을 사용하면 일반 폭약을 부스타로 사용할 경우보다 안포 폭약의 폭속이 최대 1000m/sec까지 증가되고 있다.

제품의 성능


 

구분 MegaMITE계열 하이부스타 Cast 하이부스타
평균폭속(m/sec) 7,500 7,000이상
비중(g/㎤) 1.5 1.60± 0.05
폭발열(Kcal/Kg) 2,096 1,200
낙추감도(cm) 17 100
가스량(1Kg) 746 990
내한성 -20 -20
내수성 우수 매우 우수

출처 : 화약박물관(http://museum.hanwha.co.kr:7400/a/product_temp.jsp)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